《정희진처럼 읽기》
방학 중 DLS 서평 연수에서 사전에 읽고 소감을 작성하라던 책 중 한 권이다.
오래 전 참여연대에서 그녀의 강의를 들은 적이 있는데 - 그땐 강의가 좀 두서없었다. 신변잡기 같은 이야기를 늘어놓아서.
왜 책 제목이 <정희진처럼 읽기>인 줄을 알겠다.
장르를 넘나들며 종횡무진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준다.
' 독서는 내 몸 전체가 책을 통과하는 것이다.
면역력이 생기지 않는 책이 좋은 책이다.
그리고 그것이 '고전'이다.
...
한 권의 책을 여러 권으로 읽는 훈련이 필요하다.
같은 글들이 마음에 와 닿아 PPT로 만들어 보았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사회-경제] 《자본주의 역사 바로알기》 (1) | 2024.09.14 |
---|---|
[책] 지금 당장 메모하는 방법이 알고 싶다면, 《메모습관의 힘》 (신정철, 토네이도, 2015) (0) | 2024.08.14 |
[책] 세상을 지혜롭게 보는 눈 《프레임》 (1) | 2024.08.13 |
[책] 읽고 쓰기 위해 《제텔카스텐》 (1) | 2024.08.12 |
[책] 포스트 자본주의를 꿈꾸며, 《제로에서 시작하는 자본론》 (0)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