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사회(고1 사회) 67

[학기말 수업 제안] <100 인생 그림책> 활용수업

을 활용한 통합사회 학기말 수업이다. 교사도 학생도 편안하고 의미있게 학년말을 보내는 방법 이사중이라 링크는 티스토리로. https://dia-na.tistory.com/247 [학기말 수업제안] ‘내 인생 그림책 50’ 만들기 2차 지필이 끝났다. 이의신청기간이 지나고 방학전까지 생기부 작성에 주력하는 기간. 모든 진도를 다 마치고 학기초에 구상했던 만들기 수업에 들어갔다. # 준비물 : 싸인펜, 스크랩북 10p, 교 dia-na.tistory.com

멘티미터로 단원열기 혹은 닫기

코로나 19 2.5단계 조치로 3월 첫째주는 1학년이 등교하고 (3학년은 등교 고정) 둘째주는 2학년이 등교함에 따라.지난 주는 줌으로 수업을 이어갔다. 줌으로 신사모 모임을 열어 신학기를 맞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서로의 의견을 모으던 중 멘티미터 사용을 서로 공유했다. 줌 수업시 얼굴공개로 학생들과 불필요한 감정 소모를 하지 않는 게 현명하다는 이야기도 주고 받고. 1-2 행복의 의미과 기준 단원은 멘티미터로 열었다. 교사는 멘티미터로 들어가서 질문문항을 만들고 학생들은 www.menti.com으로 들어가 코드를 넣어 참여하는 프로그램. 스마트폰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은 참여가 어렵다는 게 아쉽긴 하지만. 지루할 수 있는 온라인 수업에 활기를 불어넣는 활동이다. 무료 버전은 2개의 버전을 만들 수 있..

'20 9-3. 미래 지구촌의 모습과 우리의 삶

9-3 미래 지구촌의 모습과 우리의 삶 자료. 딱히 별도의 단원으로 편성될 필요가 있을까... 하는 단원이지만, 그래도 정리는 하고 가자.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세계 인구 변화 추이를 보면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이 급부상할 것으로 예견된다. 미,일,중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취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신남방정책이 아닐까. 너무나 자연스럽게 일상용어가 되어버린 4차 산업혁명 1차부터 4차까지 진화해온 산업혁명을 훑어보는 영상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 target="_blank" rel="noopen..

'20 9-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 자료

올해는 지구촌 사람들이 무엇을 하든 '첫' 경험을 동시다발적으로 하는 해. 수능을 하루 앞둔 오늘, 유증상자 대기실 서무를 맡게 되었다. 모쪼록 내일 아침, 유증상 아이가 없기를... 모두가 무탈한 하루이기를... 9-2단원은 자원의 특성과 이동, 지속가능한 발전을 다루는 단원. 중3 사회 내용을 복습한다고 보면 되겠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보통은 '지속가능한 발전'이란 개념만 짚고 넘어가곤 했는데 올해 유튜브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세부 내용을 다룬 영상이 많이 올라와 있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KOICA에서..

'20 9-1. 인구문제의 양상과 해결방안 - 자료

지난해까지 활동위주의 수업 진행으로 9단원을 가볍게 넘어가곤 했으나 올해는 전단원을 훎고 가게 된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1800년대부터의 인구변화의 추이를 토대로 2100년까지의 지구촌 인구를 가늠해보는 그래프 2100년대의 지구는 인도인구가 중국을 앞지르면서 아시아와 아프리카가 정복한다. 저출산 고령화 대책 마련이 정부의 국책 과제 0순위여야하는 이유 차이나는 클라스 29회와 178회에서는 인구학의 권위자 조영태 교수의 토크쇼라고 해야하나, 하여간 강연이 이 단원과 맞아떨어진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선진국에서는..

'20 3-3. 내가 사는 지역의 공간변화 + 3단원 마인드맵

살기 좋은 동네를 만들기 위한 지역조사가 들어 있는 단원이다. 종이지도가 일상에서 퇴출되면서 아이들은 지도의 기호를 모른다. - 등고선은 알지만 논과 밭 기호는 모른다. 벌거벗은 저 대지위에 조만간 건물이 올라가겠지. 수업에 사용할 자료가 많을 경우 되도록 재미있게 구성된 예능자료를 더 선호하는 편이다. 아무래도 아이들의 집중도가 높아지니까. 비정상회담에서 다루는 주제는 통합사회 단원에 적합한 소재가 많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뉴요커인 마크는 북촌의 한옥마을에 살고 있는데 (그는 고소득자이다.) 그의 한옥 사랑은 국적을 초월한다. 심지어 한국인보다 한옥에 대한 조예가 깊다. 시간이 남을 땐 뒷 영상을 보여준다..

'20 3-2. 교통통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른 변화-자료

세계화와 정보화를 다루는 단원이다. 교통 통신의 발달은 인류의 삶을 빠르게 변화시켰고 장점 못지 않게 단점(문제점)의 확산 속도도 빠르게 전파되었다. 지금의 상활이 그렇지 아니한가. 먼저 교통의 발달. 노무현 대통령 시절, 유라시아 횡단철도가 주는 기대와 환상이 있었다. 그 기대를 까맣게 잊게 하다가 최근들어 다시금 먼지 털어 꺼내고 있는 중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교통의 발달은 지구촌을 실감케 하는 역동성을 가져왔지만, 전염병의 확산 속도도 같이 따라왔다. 교통의 발달과 같이 묶어 처리되는 정보화. 인건비 절감을 위해 무인 점포와 키오스크 주문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문화에 쉬이 접근하기 어려운 노년층의 정보격차도..

'20 3-1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변화 - 자료

3단원을 제대로 학습하려면 1년 장기 계획을 세워 마을 조사 뭐 이런 거를 시도해봐야겠지만 그것은 자유학기제때나 가능하지 않을까...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우리나라 도시화율은 90%를 넘은지 오래되었으니 국민의 대다수는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번청하는 도시의 공통적인 특징은 뭘까? '알쓸신잡'에서 이것을 3T이론으로 설명하고 있다. 경제지리 연구를 하던 중 우연히 게이지수와 도시번창 순위가 같다는 것을 발견 - 이종 계통의 협업 연구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같은 우물안에서는 같은 하늘만 보인다. 포용성 있는 도시에는 재능 있는 인재가 모여들고 그 도시는 첨단 산업의 메카가 된다. 게이는 ..

'20 2-3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2단원 마인드 맵

한때 지상파에서 방송한 '북극곰의 눈물'은 환경 위기를 온국민이 실감하게 만드는데 일조하였으나 북극곰은 현실에서 너무 먼 곳에 있다. 그래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 위기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2-3 단원은 환경 관련 영상을 주르르 뽑아 보았다.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개인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 사회에서 가장 열심히 환경지킴이 역할을 하는 것은 시민단체가 아닐지. " target="_blank" rel="noopener" data-mce-href="http://">http:// 그린피스에서 떨어져 나온 단체라고 하는데 저 어마무시한 배와 자원봉사자들의..